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대한건설협회의 역사

건설의 발자취
  • 2000 ~ 2006
    •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안정화 대책, 최저가 낙찰제 확대, 고유가, 환율상승 등의 경제환경속에서 2006년 국가 전체예산은 7.1% 증가된 반면 SOC 예산은 오히려 전년 대비 2.7% 축소되어 건설경기 침체 악화 우려
    • 어려운 가운데서도 건설산업은 각종 대형국책사업을 수행하면서 재도약을 시작하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해외건설시장에서의 선전 부각
    • 선진경영기법 도입, 합리적인 수주전략 수립 등 개혁을 추진한 끝에 2003년도 102조원이라는 사상 최대의 수주실적 달성
    • IMF라는 교훈을 통해 얻은 경영효율화는 해외건설시장에서 본격적인 빛을 발하여, 출혈경쟁 및 단순시공공사 수주에서 벗어나 철저한 수익성 분석을 통한 수주, 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집중함으로써 2005년 97년 이후 처음으로 100억대를 돌파, 108억달러의 수주고 기록
    • 해외시장에 탄탄한 기술력으로 무장한 건설업체들의 플랜트 수주 등 고부가가치 시설물은 물론 부동산개발사업까지 진출, 새로운 도약기 열어감
    • 국가 경제성장의 중요 견인차 역할을 해왔으나 일부 부실시공, 부패사건에 의해 그 노력만큼 평가를 받지 못해온 건설업계는 최근 윤리경영·나눔경영, 친환경경영을 실천해가며 업계의 자정노력을 확산해가고 있음



  • 1990년대
    • 정UR(우루과이라운드) 서비스협상으로 인한 건설시장의 개방, 삼풍백화점ㆍ성수대교 붕괴 등 부실시공의 뼈저린 교훈을 얻었으며, IMF사태로 인한 경영난 및 연쇄부도사태 초래함
    • 하지만 불굴의 의지를 바탕으로 성장해 온 건설산업은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통해 시련을 딛고 새로운 건설수요 발굴과 신기술 개발, 정보화 능력 확충에 전력을 기울임
    • 93년 해외건설 누계수주액 1천억달러 돌파
    • I국내 최대규모 LNG생산기지인 인천LNG생산기지(1996년 상업운전 개시)
    • 리비아 대수로공사 통수식(1996년)
    •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소재 페트로나스 트윈타워빌딩 스카이브릿지 설치공사 완공(1999년 8월)
    • 1990~96년 분당신도시 착공 및 입주



  • 1980년대
    • 81년 미국에 이어 세계2위 해외건설 수주국으로 부상하는 등 국가경제 발전의 1등 공신 역할을 했으며 80년대 중반이후에는 중동건설 붐이 쇠퇴하면서 주택건설 및 SOC 투자 등 국내건설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
    • 88년 시행된 주택200만가구 건설사업은 풍부한 물량을 제공해 90년대 초반까지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
    • 87년 건설업 고용자 100만명 돌파
    • 한강종합개발기공(1982년)
    • 88올림픽 고속도로 개통(1984년)
    • 올림픽주경기장 완공(1984년 9월, 12만1천평)
    • 한국경제의 상징이자 서울의 랜드마크인 63빌딩 준공(1985년 7월)


  • 1970년대
    • 국토공간의 효율적인 구조개편을 위해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의한 전국 고속도로망과 지하철 건설의 골격이 마련됐으며 4대강 유역에 대한 다목적댐 건설사업도 성공을 거둠
    • 70년대 중반이후 중동건설시장 진출붐이 일면서 국가경제의 효자산업으로 한 단계 성장
    • 75년 해외건설촉진법 제정, 한국 건설의 해외 진출 본격화
    • 국내 최장 경부고속도로 전구간 왕복4차선 공사 완공(1970년 7월,연장 425.48km)
    • 고리 원자력 발전소준공(1971년)
    • 사우디 고속도로공사 수주(1972년)
    • 포항종합제철 준공(1973년)
    • 서울 지하철 1호선 첫 개통(1974년 8월)
    • 국내 최초 현수교 남해대교 개통(1973년 6월)
    • 국내 최고높이 123m, 최대저수량 29억㎥ 소양강댐 준공(1973년 10월)
    • 남산3호선 터널 개통(1978년)
  • 1970년대
    • 1960년대 초반은 국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경제개발이 본격화되어 한국 경제사에 일대 전환기를 이룸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첫 해인 1962년 건설업법이 공포됨으로써 난립하는 건설업체를 정비하고, 국토개발이 체계적으로 진행됨
    • 66년부터는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에 따른 치수사업 및 전국 주요도로의 포장사업, 항만·상하수도·주택건축 사업이 확대
    • 국내 첫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 왕복4차선으로 준공(1968년 12월, 연장 23.89km)
    • 섬진강댐 준공(1965년)
    • 제2한강대교 개통(1965년)
  • 1960년대
    • 1960년대 초반은 국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경제개발이 본격화되어 한국 경제사에 일대 전환기를 이룸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첫 해인 1962년 건설업법이 공포됨으로써 난립하는 건설업체를 정비하고, 국토개발이 체계적으로 진행됨
    • 66년부터는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에 따른 치수사업 및 전국 주요도로의 포장사업, 항만·상하수도·주택건축 사업이 확대
    • 국내 첫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 왕복4차선으로 준공(1968년 12월, 연장 23.89km)
    • 섬진강댐 준공(1965년)
    • 제2한강대교 개통(1965년)
  • 1950년대
    • 1950년 61개의 건설업체로 출범한 건설산업은 한국전쟁 이후 폐허가 된 국토복원 과정을 거치면서 ‘산업’으로서 자리매김
    • 영암선 철도, 영주-내성간 14.1km 구간 개통(1950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