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기고문

  • 등록일 2025-01-07
  • 담당부서 홍보팀
  • 조회수67


박은상 건협 인천시회장

[대한경제=정석한 기자]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제다. 건설산업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 불평, 불만은 결코 한두 건의 제도 개선이나 단기적인 이벤트만으로는 개선될 수 없다. 정부, 발주기관, 건설업체, 건설인 등 건설산업에 참여하는 플레이어 모두 이미지 개선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실질적인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이에 대한건설협회도 ‘이미지 개선’과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박은상 건협 인천시회장과 최길학 건협 충남도회장이 위원장으로, 박한상 경북도회장과 김정주ㆍ이한성 감사 등이 부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있다. <대한경제>는 박은상 건협 인천시회장을 만나 현 실태와 대책 마련에 따른 기대효과를 물었다.

▲ 이미지 개선이 필요한 배경은

△ 국내 건설산업 성과를 보자. 취업자 207만명, GDP 15%,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은 물론 국가경제 발전을 견인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왔다. 그럼에도 국민의 시선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한승구 건협 회장을 중심으로 16개 시ㆍ도회장이 참여하는 ‘10개 중점사업 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이 중 이미지 개선 분과위와 소통 강화 분과위를 구성했다. 건설산업의 부정적 인식 탈피 및 우호적 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된 셈이다.

▲ 성공적인 이미지 개선 사례는

△ 한국 건설산업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일본 사례가 있다. 일본은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30여 년간 지속적인 활동을 해 왔다. 최근에는 건설산업의 ‘리 브랜딩(Re-Branding)’이라는 목표 아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자랑ㆍ매력ㆍ보람 검토위원회>를 설립해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민관이 다 같이 모여 공통의 목표를 설정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활기차게 일할 수 있도록 휴일수 증가, 초과근무 제한, 임금 상승 등 건설산업의 취업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다. 작업복의 디자인을 개선해 ‘세련되고 입고 싶은 유니폼’을 보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인이 보았을 때 ‘멋진 일을 하고 있다’, ‘좋은 일을 하고 있다’라고 느낄 수 있도록 긍정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건설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을 위해 ‘하이테크’, ‘스마트 건설현장’이라는 이미지를 사회에 전파해 청년층, 여성 등이 건설산업에 진입하고 싶은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이미지 개선을 통해 기대하는 바는

△ 지금은 건설산업이 국민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고 지탄을 받고 있지만, 지난 반세기 이상 건설산업은 대한민국의 고용시장은 물론 경제활동 영역에서 막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일상에서도 건설을 빼놓고는 삶을 영위할 수 없을 만큼 어디 하나 건설인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앞으로 건설업에 대한 이미지 개선 노력을 꾸준히 이뤄진다면 잃어버린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건설산업은 ‘기회의 산업’이자 ‘희망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협회 구성원간 소통 강화 방안은

△ 구체적으로 대의원 소통 및 정책 공유를 위해 대의원 정책간담회를 연 1회 이상 개최하기로 했다. 권역별 정책간담회를 통해 지역별 대의원 교류를 강화하고, 전국 대의원들이 협회 정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회장 자문기구 및 자문위원회를 상시 설치ㆍ운영해 대의원들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할 예정이다.

여기에다 대중소 업체 간의 니즈가 다른 만큼 규모별 협의체 신설, 대형사 기획라인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모든 회원사가 갈등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16개 시ㆍ도회를 통한 회원사의 애로 및 고충 사항 처리를 위해 연 4회 이상 사무처장 회의를 개최하고, 주간 협회 정책 동향을 시ㆍ도회장, 대의원, 위원회 위원, 협의회까지 확대해서 알리도록 할 방침이다. 회원사 요구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후화된 홈페이지를 개편해 많은 건설 정보를 발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자료출처 :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8091100341280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