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안전정보

  • 등록일 2023-07-07
  • 담당부서 기술안전실
  • 조회수147

안전 전문자료

 

공동주택 정밀안전보고서 서식자료집 배포 https://me2.kr/MxKMi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공동주택 정밀안전점검 종사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공동주택 정밀안전점검 시 참고자료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점검 매뉴얼(2023) https://www.sfms.or.kr/

 아동·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소규모 취약시설의 안전점검 방법 및 요령 등을 제공

- 일반사항
- 건축 구조의 이해
- 시설물 점검 일반
- 주요 점검항목 및 점검 체크리스트
- 점검요령    

[정보마당-자료실]에서 키워드 검색

 

보도용 안전정보

국토안전관리원, ‘인프라 총조사’ 권역별 정책설명회 개최 https://me2.kr/BdMLL

- 국토안전관리원은 국내 기반시설의 현황 파악 등을 위해 진행되는 ‘인프라 총조사’와

  관련한 정책설명회를 6월22일부터 7월5일까지 전국 5개 권역별로 개최

 설명회는 22일 강원권을 시작으로 호남권(6월27일 광주시 김대중 컨벤션센터),

  경상권(6월29일 창원대학교 국제회의장), 수도권(7월4일 동국대학교 본관 중강당),

  충청권(7월5일 대전시 KT 인재개발원) 등으로 이어질 예정

 기반시설 관리주체 및 관리감독기관의 사업 이해도와 참여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설명회는

  「기반시설관리법?에 따른 제도 설명, 인프라 총조사 현황 및 유지관리 정보 확인·수정·제출 절차,

  기반터 시스템 활용 등 3개 주제로 진행되며, 설명회 참석은 기반시설관리시스템(www.inframanage.go.kr)을

  통해 신청

 

수도권지사, 12개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장비 무상 설치완료 https://me2.kr/BIWuM

-  국토안전관리원은 안전관리가 취약하고 사고 발생률이 높은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서울시 강남구 등 수도권 7개 지자체의 건설현장 12개소에 스마트 안전장비를

  무상으로 설치했다고 밝힘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센서와 무선네트워크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작한

  지능형 CCTV, 붕괴?변위 위험경보 장비 등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수도권지사는 지난해에는

  6개소를 지원한 바 있음.

 관리원 수도권지사는 “새로 장비를 지원한 12개 건설현장에 대해서는 장비의 효율성과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점검도 함께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영상 콘텐츠 

우기(집중호우·태풍 등) 대비 제방 안전점검 요령 https://youtu.be/9l4_grgmjl0

우리 대비 제방 안전점검 요령

1. 수문과 통문의 접속부 구간 내 토사 확인
2. 배수통관 내 이물질 확인

 

우기(집중호우·태풍 등) 대비 옹벽 안전점검 요령 https://youtu.be/a1STNwI9rQA

우기 대비 옹벽 안전점검 요령

1. 전면부의 종균열 확인
2. 철근 노출 부분 주의깊게 관찰
3. 배수공, 배수구를 막고 있는 이물질 확인

 

SNS 콘텐츠 

 

[카드뉴스] (건설사고사례) 철공공사 - 콘크리트 공사 -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데크플레이트 붕괴사고 https://blog.naver.com/kalis_pr/222974950782

 건설사고사례 공유 - 작업 중 보, 데크플레이트가 붕괴하며 근로자 추락

1. 사고원인 : 1) 데크플레이트 하부지지 강재보와 벽체의 접합부 시공 미흡
2. 재발방지 대책 : 1) 데크플레이트 시공순서와 안전조치 교육 실시
                         2) 접합부 겹침길이, 추락안전조치 등 포함한 계획서 작성
                         3) 데크플레이트 하부지지 강재보와 벽체 접합우 용접철저

 

[카드뉴스] 건축시설물 손상에 따른 보수공법 https://blog.naver.com/kalis_pr/222959653982

- 시설물의 손상유형별 보수공법 안내

1. 균열 표면처리 보수공법
2. 균열 충전식 보수공법
3. 콘크리트 박락 및 철근 노출부위 단면 복구방법
4. 담장 보수공법
5. 창호 주위 실란트 보수공법
6. 치장벽돌 연결재 보수공법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