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안전정보

  • 등록일 2023-08-18
  • 담당부서 기술안전실
  • 조회수103

안전 전문자료

 

2022년 설계안전성 검토 위험요소 프로파일 선정결과  www.csi.go.kr
위험요소 프로파일 선정 결과 공유(1200건)

- 시설물 분류, 공종
- 위험발생 객체, 위치
- 피해, 사고원인, 저감대책

[알려드립니다-자료실-통합포털]에서 키워드 검색

 

[교육자료] [현대건설]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특별안전보건교육 www.csi.go.kr

-  위험요소 프로파일 선정 결과 공유(1200건)

- 시설물 분류, 공종
- 위험발생 객체, 위치
- 피해, 사고원인, 저감대책

[알려드립니다-건설안전 라이브러리]에서 키워드 검색 

 

 

보도용 안전정보

 

[기획보도] 장마철 안전사고_건설안전 이렇게 지킨다 http://bitly.ws/QMkY

- 반복되는 장마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철저한 점검과 선제적인 안전조치를 강조

  국토안전관리원 점검이 실제 건설현장을 방문하여, 각 층별 장비 및 수방시설, 강우시 안전조치 등을 확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온라인 교육-건축·토목·전기·가스 등 분야별 안전 무료 교육… 일반 국민도 참여 가능 http://bitly.ws/QMhx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 이하 관리원)은 2일 사회복지시설의 관리자와 담당 공무원은

  물론 일반 국민도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안전교육을 10월 말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관리원이 운영을 맡아 실시되며, 건축·토목·보험·전기·가스 등

  사회복지시설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교육 콘텐츠는 관리원, 한국사회복지공제회,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분야별

  안전 전문기관이 협업으로 제작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 운영과 관련한 「중대재해처벌법」 설명도 제공된다.

 

 

영상 콘텐츠 

[3D 건설사고 사례 영상] 기타공사(하역작업)편 - 초등학교 환경개선 공사 중 깔림사고 https://youtu.be/7Kc5L5zextE

건설사고 사례를 3D영상으로 제공하여 사고정보의 직관적인 전달과
유사 건설사고 재발방지를 도모

사고사례 : 건설자재 하역 양중작업 중 발생한 깔림사고
사고원인 : 1. 인양 전용 슬링벨트 미사용
               2. 외줄걸이 방식으로 자재 양중
               3. 현장 내 신호수 미배치
               4. 안전보호구 미착용
예방대책 : 1. 인앙 전용 슬링벨트 착용
               2. 양중작업시 2줄걸이 작업
               3. 줄걸이 작업 시 현장내 신호수 배치
               4. 작업자 개인 안전보호구 착용

 

[건설기계 e-마당 사용법 - 임대사업자편] https://youtu.be/_ByIot8lZpw

빠르고 효율적으로 임대차 및 구인구직이 가능한 건설기계 e-마당 소개(임대사업자편)

- 건설기계임대차 현황 검색
- 장비 제원, 조종사 포함 여부 등 세부사항 포함 가능

 

 

SNS 콘텐츠 

 

[카드뉴스] (건설안전 가이드라인) 지붕공사 - 추락사고 https://blog.naver.com/kalis_pr/222995121806

- 1. 사고개요 : 방수시트 설치 작업 중 근로자가 미끄러져 추락

2. 재발방지 대책 : 1) 지붕 위 추락사고 예를 포함한 안전교육 이수
                         2) 작업지시자로부터 작업순서를 지시받은 후 작업
                         3) 추락방호망, 안전대 부착설비 등 설치 확인
                         4) 안전대 안전고리 체결 후 작업

 

[카드뉴스] (건설안전 가이드라인) 포장공사 - 깔림사고 https://blog.naver.com/kalis_pr/223001498809

- 1. 사고개요 : 후진하는 건설차량과 건설기계에 근로자 깔림 사망 사고

2. 재발방지 대책 : 1) 건설기계 협착에 의한 사고 중심 안전교육 이수
                         2) 유도자(신호수)의 통제에 따라 작업 실시
                         3) 충돌방지알림 장비 설치 및 출입금지 지역 확인
                         4) 장비의 대수에 상응하는 유도자 또는 신호수 배치 확인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